목차
지번 하나만 알면 끝! 토지 용도지역, 규제사항, 건축 가능 여부까지 확인 가능한 꿀사이트 '토지이음', 제대로 쓰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나도 모르게 '저 땅이 뭐지?', '여기다 건물 지을 수 있을까?' 궁금했던 적 있으셨죠?
저도 마찬가지였어요. 그렇게 알게 된 게 바로 국토교통부의 ‘토지이음’이라는 사이트인데요.
진짜 한 번 써보면 감탄 나옵니다.
내 땅은 물론, 다른 땅까지 용도지역, 행위제한, 개발여부까지 몽땅 조회할 수 있으니까요.
오늘은 이 사이트의 활용법을 완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즉시 토지이음 사이트로 이동 하실 분들은 아래 링크로 이동 하시면 됩니다.
‘토지이음’은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토지정보 종합 포털이에요.
전국 모든 필지의 용도지역, 행위제한, 개발제한구역 등 부동산 규제 및 인허가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죠.
예전엔 이런 정보를 보려면 구청이나 시청까지 직접 가야 했지만,
이젠 토지이음 사이트에서 클릭 몇 번이면 끝입니다.
건축 가능 여부, 농지 전용 가능성, 환경 규제 등
도 이곳에서 다 나옵니다.
항 목 |
내 용 |
---|---|
용도지역·지구 | 도시지역/농림지역, 제1종/준공업지역 등 |
행위제한사항 | 개발제한구역, 문화재보호구역 등 |
건축 가능 여부 | 건폐율, 용적률, 층수 제한 등 건축 관련 규제 |
실제로 내 소유 토지나 관심 있는 부지를 검색했을 때, 어떤 화면이 뜨고 뭘 봐야 하는지 정리해봤어요.
아래 테이블처럼 따라 해보시면 헷갈리지 않아요!
단 계 |
내 용 |
---|---|
1 | 주소 검색 후 ‘열람’ 클릭 |
2 | 왼쪽 ‘용도지역/지구/구역’ 확인 |
3 | 오른쪽 ‘행위제한내용’ 상세 확인 |
4 | 상단의 ‘토지이용계획확인서 출력’ 클릭 |
1. 토지이용계획 활용: 토지의 지목, 면적, 행위제한 정보를 확인하여 부동산 투자나 개발 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합니다.
2. 도시계획 열람: 도로, 공원 등 도시계획시설에 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규제안내서 활용: 시설물 건축 시 필요한 법적 정의와 행정절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고시정보 활용: 결정고시, 지형도면 고시, 실시계획인가 정보를 검색하여 확인합니다.
1. 이음 지도 활용: GIS 서비스를 통해 지도 전체보기, 확대, 축소가 가능하며, 네이버, 카카오 지도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인근 지역 정보 확인: 인근 지역의 행위 가능 여부, 건폐율, 용적률, 층수, 높이제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토지 이력 및 건축물 정보: 공시지가, 실거래가, 토지 이력, 건축물 정보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 토지이음은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로, 전 기능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네. 건폐율, 용적률, 행위제한 항목을 보면 해당 필지에서 어떤 건축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어요.
물론입니다. '출력' 버튼을 클릭하면 PDF 저장 또는 프린트 가능합니다.
네. 모바일에서도 접근 가능하지만, 화면이 작아 상세정보 확인은 PC가 더 편리합니다.
내 땅인데도 뭘 할 수 있고, 뭘 못하는지 잘 모를 때가 많죠.
토지이음은 그런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주는 필수 도구예요.
개발이 가능한지, 농지를 전용할 수 있는지, 지목이 뭔지, 이런 것들이 그냥 다 나와요.
무료고, 로그인도 안 해도 되니까 지금 바로 한번 들어가보세요.
‘모르는 땅’에서 ‘아는 땅’으로 바꾸는 첫걸음, 토지이음으로 시작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본인 소유의 땅이 있다면 한번 방문하셔서 조회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토지이음, 토지이용계획확인서, 국토교통부, 용도지역조회, 행위제한, 건축가능여부, 필지정보조회, 개발제한구역, 지가규제, 부동산정보포털